반응형
반응형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192조에 따르면, 사업주는 컨베이어 등에서 근로자의 신체 일부가 말려드는 등 위험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경우나 비상시 즉시 운전을 정지시킬 수 있는 비상정지장치를 설치해야 합니다. 다만, 무동력 상태로만 사용되어 근로자가 위험해질 우려가 없는 경우에는 이러한 장치 설치 의무가 면제됩니다.비상정지장치는 컨베이어의 작동을 신속하게 멈춰 근로자의 안전을 확보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장치는 컨베이어의 위험 구역에 근로자가 접근하거나 신체 일부가 말려들 위험이 있는 경우 즉각적인 대응을 가능하게 합니다. 또한, 비상정지 신호는 다른 모든 작동 신호보다 우선하며, 기계의 응답은 추가적인 위험을 유발하지 않아야 합니다.따라서, 사업주는 컨베이어를 설치·운영할 때 근로자의 안전을 위..
미세먼지는 호흡기 질환, 피부 트러블, 심혈관 질환 등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특히, 초미세먼지(PM2.5)는 폐 깊숙이 침투해 면역력을 약화시킬 수 있어 철저한 예방이 필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미세먼지로부터 건강을 지키는 방법을 최신 정보와 실천 가능한 팁으로 정리했습니다. ✅ 1. 실시간 미세먼지 농도 확인하기 미세먼지가 심한 날을 대비하려면 정확한 대기질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필수입니다. 📍 실시간 미세먼지 확인 사이트 & 앱 추천 환경부 ‘에어코리아’: 실시간 미세먼지 농도 & 예보 제공 기상청 날씨 앱: 미세먼지 + 초미세먼지 정보 확인 가능 네이버/카카오 날씨: 지역별 미세먼지 수치 확인 💡 TIP: 미세먼지 ..
산업안전산업기사는 기본 개념 이해 + 문제풀이 연습이 핵심입니다.아래 방법을 따르면 효율적으로 공부하고 단기 합격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1. 산업안전산업기사 합격 전략✔ 출제 기준 & 기출 문제 분석→ 출제 비중이 높은 과목(산업안전관리, 인간공학, 기계·전기·화학·건설안전 등)에 초점 맞추기✔ 필기 & 실기 공부 전략 분리→ 필기는 암기 & 개념 중심 / 실기는 서술형 대비 & 이해 중심✔ 공부 계획 세우기→ 최소 2~3개월 단기 집중 공부 추천→ 주 5일 공부(평일 2시간, 주말 4~5시간)📚 2. 필기 공부 방법 (암기 + 문제풀이 병행)✅ ① 개념 정리 먼저! (1~2주)교재 or 한국산업인력공단 출제 기준 확인산업안전보건법, 기계·전기·화학·건설안전 이론 정리핵심 개념 + 공식 정리 (예..
화학공업 및 플랜트 관련 산업에서 취업을 준비하는 특성화고(화학고) 학생들에게 유리한 자격증을 소개합니다.정유, 석유화학, 반도체, 제약, 환경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도움이 될 수 있는 국가자격증 및 기업 선호도가 높은 자격증을 정리했습니다.1. 위험물기능사 🔥 (산업안전 필수) ✅ 관련 직군: 정유·석유화학 플랜트, 반도체, 제약, 전기차 배터리 공장✅ 자격증 개요: 위험물 저장·취급·운반 업무 수행 능력을 인증하는 자격증✅ 취업 장점: 화학공장 및 플랜트에서 필수 자격증으로 인정 정유회사(SK에너지, GS칼텍스, S-Oil, HDO 등) 및 반도체·배터리 제조업체(LG화학, 삼성SDI 등) 취업 시 가산점✅ 시험 과목: 위험물의 성질 및 취급 소방법 및 위험물안전관리..
PFD(Procedd Flow Diagram) 와 P&ID(Piping and Instrument Diagram)는 플랜트 설계 및 운전에 필수적인도면이지만, 목적과 상세 수준에서 차이가 있습니다.PFD는 프랜트 설계 단계에 가장 많이 보고, P&ID는 실제 운전하면서 가장 많이 이용된다. 1. PFD (Process Flow Diagram, 공정 흐름도)✅ 목적: 공정의 전반적인 흐름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다이어그램✅ 주요 요소: 주요 장비(압축기, 열교환기, 반응기 등)유체 흐름 방향 및 주요 배관공정 조건(온도, 압력, 유량 등)주요 물질의 출입 및 균형(Mass & Energy Balance)✅ 특징:공정 엔지니어링 단계에서 작성됨디테일한 배관, 계장 정보는 포함되지 않음프로젝트 초기 설계 및 공정..
1. Hazard(위험 요소) vs Risk(위험성) Hazard(위험 요소): 사고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물질, 행동 또는 환경적인 요인을 의미합니다.예: 가연성 가스, 전기 설비, 미끄러운 바닥 Risk(위험성): 특정 Hazard가 실제 사고나 부상을 초래할 가능성과 그 영향의 크기를 의미합니다.예: 가연성 가스가 누출되어 폭발할 가능성, 전기 감전 위험, 미끄러운 바닥으로 인한 낙상 가능성 ▶ 쉽게 설명하면? Hazard는 위험의 근본적인 원인 Risk는 Hazard가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 2. 유해성 vs 위해성 유해성(Haz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