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PFD(Procedd Flow Diagram) 와 P&ID(Piping and Instrument Diagram)는 플랜트 설계 및 운전에 필수적인
도면이지만, 목적과 상세 수준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PFD는 프랜트 설계 단계에 가장 많이 보고, P&ID는 실제 운전하면서 가장 많이 이용된다.
1. PFD (Process Flow Diagram, 공정 흐름도)
✅ 목적: 공정의 전반적인 흐름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다이어그램
✅ 주요 요소:
- 주요 장비(압축기, 열교환기, 반응기 등)
- 유체 흐름 방향 및 주요 배관
- 공정 조건(온도, 압력, 유량 등)
- 주요 물질의 출입 및 균형(Mass & Energy Balance)
✅ 특징:
- 공정 엔지니어링 단계에서 작성됨
- 디테일한 배관, 계장 정보는 포함되지 않음
- 프로젝트 초기 설계 및 공정 개념 이해에 사용됨
🔹 예제:
정유공장에서 원유 → 증류 → 탈황 → 개질 → 제품 생산 과정을 보여주는 개략도
2. P&ID (Piping and Instrumentation Diagram, 배관 및 계장도)
✅ 목적: 플랜트의 배관과 계장(Instrumentation) 정보를 포함한 상세 설계 도면
✅ 주요 요소:
- 모든 배관(Pipe size, Material 등)
- 밸브(게이트 밸브, 체크 밸브 등)
- 계측 기기(압력 게이지, 유량계, 온도 센서 등)
- 컨트롤 루프(PLC, DCS 연결 등)
✅ 특징:
- 상세 엔지니어링 및 시공 단계에서 사용됨
- 플랜트 운전, 유지보수, 트러블슈팅 시 필수 자료
- 안전 시스템(차단 밸브, 압력 방출 시스템 등) 포함
🔹 예제:
PFD에서 나타낸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배관의 연결 방식, 계기 설치 위치, 컨트롤 방식을 상세하게 표현
3. PFD vs P&ID 비교 정리
결론
✔ PFD는 "어떤 공정이 진행되는지" 보여주고,
✔ P&ID는 "어떻게 실제로 배관과 장비가 연결되는지" 상세하게 나타냅니다.
즉, PFD는 전체적인 개념을 이해하는 데 유용하고, P&ID는 실제 플랜트 설계와 운전에서 필수적인 도면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