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폭발성 (Exploding Bomb)폭발성 물질, 자기반응성 물질, 유기과산화물 등을 나타냅니다.인화성 (Flame)인화성 가스, 액체, 고체, 자기발열성 물질 등을 나타냅니다.산화성 (Flame over Circle)산화성 가스, 액체, 고체 등을 나타냅니다.고압가스 (Gas Cylinder)압축가스, 액화가스, 용해가스 등을 나타냅니다.부식성 (Corrosion)금속 부식성 물질, 피부 부식성 물질 등을 나타냅니다.급성독성 (Skull and Crossbones)고독성 물질을 나타냅니다.건강 유해성 (Health Hazard)발암성, 생식독성, 특정 표적 장기 독성 등을 나타냅니다.자극성 (Exclamation Mark)피부 자극성, 눈 자극성, 피부 과민성 등을 나타냅니다.환경 유해성 (Enviro..
1. 표시의 필요성 : 왜 중요한가?화학물질은 인체에 유해하거나 환경에 위해를 줄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누가, 어디서, 어떻게 사용하더라도 동일하게 위험성과 안전 정보를 전달해야 합니다.따라서 운반, 보관, 사용, 폐기 전 과정에서 **표시(label)**는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집니다: 목적 설명안전 확보근로자 및 사용자에게 즉각적인 경고 제공 (폭발, 화재, 독성 등)유해성 전달물질의 고유한 GHS 분류 정보를 시각적, 문자로 명확히 제공신속 대응누출·화재 발생 시 소방, 응급대응팀의 신속한 대응 가능법적 책임 회피미표시 시 행..
제13조. 유해화학물질의 취급기준 준수주요 내용: 유해화학물질을 취급하는 자는 물질별 정해진 안전 취급기준을 준수해야 함.핵심 사항:화재, 폭발, 누출 등 위해 우려가 있는 혼합·반응 금지적절한 온도·압력 유지유해화학물질에 따른 안전거리, 접촉금지 조건 등 준수실무 예시:→ 황산과 염소를 같은 장소에 보관하지 않음 (혼합금지)→ 반응성 물질은 단독 보관하고, 통풍 가능한 장소 확보제14조. 취급자의 개인보호장구 착용주요 내용: 유해화학물질을 취급하는 종사자는 적절한 개인보호장비(PPE)를 착용해야 함.필수 보호장구 예시:방진마스크, 보호안경, 내화학장갑, 보호복, 안전장화 등비치 및 교육 의무:사업주는 보호장구를 제공하고 착용 교육을 해야 함.실무 예시:→ 염산 취급 시, 내화학 고무장갑·고글·앞치마 착..
1. 표시사항 (표기해야 할 내용)화학물질의 포장용기 또는 이송용기에는 다음의 표시사항을 한글로 기재해야 합니다.표시 내용은 GHS 기준을 따라야 하며, 일반적으로 MSDS(물질안전보건자료)를 바탕으로 작성합니다. 구분 세부 항목 설명1. 물질명일반명 또는 고유명칭예: 황산, 톨루엔 등2. 제조자 정보제조자/수입자 상호, 주소, 전화번호연락 가능한 정보 포함3. 유해·위험성GHS 그림문자(Pictogram), 신호어(Signal word), 유해·위험 문구(H문구..
1. 물리적 위험성 (Physical Hazards) – 총 16가지폭발성 (Explosives)→ 열·충격·마찰 등으로 폭발 가능가연성 가스 (Flammable gases)→ 공기와 혼합 시 폭발성 혼합물 형성가연성 에어로졸 (Flammable aerosols)→ 분무 상태에서 불이 붙기 쉬움산화성 가스 (Oxidizing gases)→ 연소를 지원해 화재 위험 증가고압가스 (Gases under pressure)→ 온도 변화 시 폭발 위험 존재가연성 액체 (Flammable liquids)→ 인화점이 낮아 쉽게 불이 붙음가연성 고체 (Flammable solids)→ 마찰·충격에 의해 발화하거나 연소 확대자발연소성 물질 (Self-reactive substances and mixtures)→ 외부 점..
1. GHS란?GHS (Globally Harmonized System of Classification and Labelling of Chemicals)는 유엔(UN)이 제정한화학물질의 분류 및 표시 기준입니다. 목표: 사람 건강과 환경 보호, 화학물질 무역의 국제 조화, 근로자의 안전 보장국내 적용 법령: 화학물질관리법, 산업안전보건법, 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 등2. GHS의 3대 핵심 요소 구분 설명분류(Classification)화학물질의 유해성·위험성을 물리적, 인체건강, 환경 유해성으로 분류표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