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네 가지 분류

반응형

1. 제조·사용시설

정의:

유해화학물질을 제조하거나 반응·혼합·가열 등의 공정을 통해 사용하는 설비입니다.

주요 설비:

  • 반응기(reactor), 혼합기(mixer), 증류탑(distillation column)
  • 흡수탑, 추출탑, 건조기
  • 이송 펌프, 열교환기, 기타 공정에 포함되는 설비

관리 포인트:

  • 공정 중 유해화학물질이 물리적·화학적으로 변형되므로 위험성 평가 및 변경관리 절차가 필수
  • 설비 설계도(PFD, P&ID)와 공정 안전관리(PSM) 연계 필요
  • 누출 감지 및 긴급차단, 격리 설비 설치 권고

2. 보관·저장시설

정의:

공정 전·후 또는 외부 출하 전 유해화학물질을 일정 기간 안전하게 저장·보관하는 설비입니다.

주요 설비:

  • 지상 및 지하 저장탱크
  • 드럼, IBC, 용기류 보관 창고
  • 온도·습도 조절 저장고
  • 고체 물질용 사일로(Silo)

관리 포인트:

  • 화재·폭발 방지를 위한 물질 간 격리, 통풍, 접지, 정전기 방지 대책 필요
  • 지정수량 초과 시 위험물 규제 및 소방시설 설치 의무
  • 물질별 저장 조건(온도, 습도, 안정성 등) 반영 필요

3. 차량운송·운반시설

정의:

유해화학물질을 사업장 내외로 이송 또는 운반하는 차량, 이동설비 및 하역 장치를 포함한 이동 관련 설비입니다.

주요 설비:

  • 탱크로리(Tank lorry), 적재 트럭
  • 드럼 운반구, 지게차
  • 하역설비(로딩암, 호스, 배관 연결장치)
  • 차량용 유해물질 감지 및 접지장치

관리 포인트:

  • 차량 출입 전 적재표시, 운송기록, 안전장비 점검 필수
  • 유해화학물질 운송자 교육 이수 의무
  • 하역 중 정전기 방지, 누출 감지, 비상대응 체계 확보

4. 사외배관 이송시설

정의:

사업장 간 또는 사업장 외부와 연결된 배관을 통해 유해화학물질을 이송하는 시설입니다. 보통 생산시설과 저장시설, 항만, 인근 공장 간 이송용으로 설치됩니다.

주요 설비:

  • 지상·지하 배관 및 이송펌프
  • 밸브, 조인트, 샘플링 포인트
  • 유량계, 압력계, 차단 밸브
  • 배관 경로의 표시 및 표지판

관리 포인트:

  • 누출·파손 방지를 위한 내압성·내화학성 확보 및 정기 점검
  • 배관 위치도 및 계통도(P&ID) 작성·관리
  • 사외배관은 장외영향평가와 연계되며, 화학사고관리계획서 필수 반영
  • 배관 누출 감지 및 즉시 차단 가능한 원격 차단 시스템 권장

✅ 종합 정리

        분류                                           정의                                              주요 설비                          주요 관리 사항
제조·사용시설 공정 내 유해화학물질을 제조·사용하는 설비 반응기, 증류탑 등 공정안전, 변경관리, 위험성 평가
보관·저장시설 유해화학물질을 보관·저장하는 장소 탱크, 창고 등 저장 조건 관리, 격리, 통풍, 소방
차량운송·운반시설 물질의 이동 및 하역용 설비 탱크로리, 하역장치 등 누출방지, 교육, 표시, 정전기 차단
사외배관 이송시설 외부 또는 공장 간 배관 이송설비 배관, 펌프, 밸브 등 정기점검, 차단설비, 위치도 관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