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 체인의 주요 위험 요소: 함정, 충격, 접촉, 말림, 튀어나옴

반응형

 

산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사고는 여러 가지 위험 요소가 작용하여 일어나며, 이를 사고 체인의 일부로 볼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는 **함정(Trap), 충격(Impact), 접촉(Contact), 말림(Entanglement), 튀어나옴(Ejection)**의 개념과 각 요소가 사고로 이어지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1. 함정(Trap)

  • 정의: 작업자의 신체 또는 도구가 기계·설비의 구조적 공간에 갇히거나 끼이는 위험 요소
  • 사례:
    • 프레스 기계의 틈 사이에 손이 끼이는 경우
    • 리프트와 벽 사이의 공간에 사람이 끼이는 사고
    • 문이나 덮개가 갑자기 닫히면서 신체가 갇히는 상황
  • 예방 조치:
    • 기계 가동 중 신체 접근 제한
    • 협착 위험이 있는 공간에는 안전 가드 설치
    • 자동 감지 센서 및 비상 정지 장치 활용

2. 충격(Impact)

  • 정의: 물체의 급격한 이동이나 낙하로 인해 작업자가 충격을 받는 위험 요소
  • 사례:
    • 공사 현장에서 공구나 자재가 높은 곳에서 떨어지는 경우
    • 지게차나 차량과 작업자가 충돌하는 사고
    • 무거운 물체를 옮기다가 손이나 발을 부딪히는 경우
  • 예방 조치:
    • 안전모, 안전화 등 보호구 착용
    • 물체 낙하 방지를 위한 안전망 설치
    • 이동식 장비 사용 시 작업자 출입 제한

3. 접촉(Contact)

  • 정의: 고온·고압·전기·화학물질 등 위험한 요소와 직접 접촉하여 사고가 발생하는 위험 요소
  • 사례:
    • 뜨거운 금속 표면을 맨손으로 만지는 화상 사고
    • 전기 배선에 직접 접촉하여 감전되는 경우
    • 부식성 화학물질이 피부에 닿아 화상을 입는 경우
  • 예방 조치:
    • 절연 장갑, 내열 장갑 등 적절한 보호구 착용
    • 화학물질 취급 시 보호장비(고글, 마스크) 사용
    • 고온·고압·전기 설비에는 접근 금지 및 경고 표지 부착

4. 말림(Entanglement)

  • 정의: 회전하는 기계 부품에 작업자의 옷, 장갑, 머리카락 등이 감겨 들어가 발생하는 사고
  • 사례:
    • 선반 기계의 회전축에 작업자의 장갑이 말려 들어가는 경우
    • 컨베이어 벨트에 작업자의 소매가 끼어 빨려 들어가는 경우
    • 드릴, 믹서기 등의 회전 부품에 머리카락이 감기는 사고
  • 예방 조치:
    • 회전 부위에 안전 덮개(가드) 설치
    • 헐렁한 옷, 장갑 착용 금지 및 머리카락 묶기
    • 비상 정지 버튼(긴급 차단 장치) 설치

5. 튀어나옴(Ejection)

  • 정의: 기계나 설비에서 물체가 예상치 못하게 튀어나와 작업자를 다치게 하는 위험 요소
  • 사례:
    • 회전 중인 공작기계에서 금속 조각이 튀어나오는 경우
    • 고압으로 연결된 호스가 갑자기 분리되어 튀어 오르는 경우
    • 톱이나 절단기에서 이탈한 부품이 빠른 속도로 날아가는 경우
  • 예방 조치:
    • 보호덮개(가드) 설치로 튀어나온 물체 차단
    • 안전거리를 유지한 후 작업 진행
    • 보호안경, 안면 보호대 착용

총정리: 사고 예방을 위한 기본 조치

위험 요소주요 사례예방 조치
함정(Trap) 프레스기 협착, 리프트 끼임 안전 가드, 자동 감지 센서
충격(Impact) 낙하물 충돌, 차량 충격 보호구 착용, 출입 통제
접촉(Contact) 감전, 화학물질 노출 절연 장갑, 보호 장비
말림(Entanglement) 기계 회전축에 옷·머리카락 감김 회전 부위 가드, 장갑 착용 금지
튀어나옴(Ejection) 금속 파편 튀기기, 호스 분리 보호덮개 설치, 보호안경 착용

이러한 위험 요소들은 독립적으로 작용하기도 하지만, 서로 연관되어 연쇄적인 사고를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각 위험 요소를 사전에 인지하고, 적절한 예방 조치를 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