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호장치(防護裝置)와 방호조치(防護措置) 개념 정리

반응형

산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기계·설비에 대한 방호장치작업 과정에서의 방호조치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 방호장치(Guarding Device): 기계·설비의 위험 요소를 차단하거나 자동으로 감지하여 사고를 방지하는 물리적인 장치
  • 방호조치(Safety Measures):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운영하는 관리적·절차적 조치

이 두 가지 개념은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안전을 확보하는 필수 요소이며, 방호장치는 하드웨어적인 안전 확보 방법, 방호조치는 소프트웨어적인 안전 확보 방법이라 할 수 있다.


1. 방호장치(Guarding Device)

정의:
기계·설비의 위험 요소를 직접 차단하거나, 감지하여 자동으로 기계를 정지시키는 물리적인 안전 장치

목적:

  • 기계 작동 중 발생하는 협착, 절단, 물림 등의 위험 방지
  • 위험 부위에 신체 접근을 막거나, 접근 시 즉각적인 정지 기능 수행
  • 산업 재해 예방 및 작업자의 안전 확보

방호장치의 종류

  1. 가드(Guard)
    • 물리적으로 위험 요소를 차단하여 작업자의 접근을 방지
    • 🔹 예시: 프레스 기계의 덮개, 회전부 보호 덮개
  2. 인터록 장치(Interlock Device)
    • 작업자가 보호 장치를 열면 자동으로 기계가 정지
    • 🔹 예시: 승강기의 문이 완전히 닫히지 않으면 작동 불가
  3. 광전자식 방호장치(Light Curtain)
    • 적외선 센서가 신체 접근을 감지하면 기계가 자동 정지
    • 🔹 예시: 프레스 기계의 손 끼임 방지 센서
  4. 양수 조작 방식(Two-Hand Control)
    • 작업자가 양손으로 동시에 버튼을 눌러야 기계가 작동하여 손 끼임 방지
    • 🔹 예시: 프레스 기계의 이중 버튼 방식
  5. 제한 봉(Barrier)
    • 작업자가 위험 지역으로 접근하는 것을 제한하는 장치
    • 🔹 예시: 공장 내 안전 펜스, 고온부 접근 제한 봉
  6. 속도 및 토크 제한 장치
    • 기계의 속도나 힘을 일정 수준 이하로 제한하여 사고 방지
    • 🔹 예시: 협동로봇의 충돌 방지 기능

2. 방호조치(Safety Measures)

정의:
기계·설비의 위험 요소가 존재하는 경우,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취하는 관리적·절차적 조치

목적:

  • 작업자의 안전한 행동을 유도하고 사고를 예방
  • 위험한 작업 환경에서 보호 조치를 강화하여 사고 확률 최소화
  • 방호장치로 미처 방지할 수 없는 위험 요소를 보완

방호조치의 종류

  1. 안전 작업 절차 확립
    • 기계를 조작할 때 작업자가 반드시 지켜야 하는 절차를 정하고, 교육 및 훈련 실시
    • 🔹 예시: 기계 사용 전 점검, 작업 중 안전 거리 유지
  2. 개인 보호구 착용 의무화
    • 작업자가 반드시 보호 장비를 착용하도록 함
    • 🔹 예시: 안전모, 보호장갑, 안전화, 보안경 착용
  3. 위험 구역 표시 및 경고
    • 작업 현장에 위험 구역을 명확히 표시하고, 접근 금지 구역을 설정
    • 🔹 예시: "고온 주의", "고압 주의", "위험 접근 금지" 표지판 부착
  4. 비상 정지 시스템 구축
    • 사고 발생 시 신속하게 기계를 정지할 수 있도록 설비 구축
    • 🔹 예시: 컨베이어 벨트 비상 정지 스위치, 비상 스톱 버튼
  5. 작업자 안전 거리 유지
    • 위험 기계 근처에서 작업할 때 최소한의 안전 거리를 유지하도록 지도
    • 🔹 예시: 크레인 하중 하단에 작업 금지
  6. 정기적인 안전 점검 및 유지보수
    • 기계·설비의 안전성을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이상이 있을 경우 즉시 보수
    • 🔹 예시: 매월 프레스 기계 안전 점검, 전기 설비 절연 점검

방호장치 vs 방호조치 비교

구분방호장치(Guarding Device)방호조치(Safety Measures)

개념 물리적으로 위험 요소를 차단하는 장치 관리적·절차적으로 사고를 예방하는 조치
목적 작업자의 신체가 위험 부위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함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운영 방안을 마련
종류 가드, 인터록, 광전자식 방호장치, 양수 조작 방식, 제한 봉 안전 작업 절차, 개인 보호구 착용, 위험 구역 경고, 비상 정지 시스템 구축
예시 프레스 기계 덮개, 승강기 인터록, 센서 감지 정지 "고압 주의" 경고판, 안전모 착용 의무화, 정기 점검 실시

🔹 결론

  • 방호장치는 물리적인 장치로 기계의 위험 요소를 직접 차단하는 역할을 하며, 방호조치는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관리적·절차적인 방법을 제공하는 것
  • 방호장치와 방호조치를 함께 적용하면 기계적 안전과 작업자 행동 안전을 모두 확보할 수 있어 산업재해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음
반응형